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혜택 총정리
- 치아건강
- 2025. 10. 24. 17:24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혜택 총정리
(65세 이상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치과 복지 정보)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치아 손실이 생기지만,
임플란트 비용이 부담돼 치료를 미루는 어르신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65세 이상 노인이라면 건강보험이 임플란트 비용의 70%를 지원해 줍니다.
즉, 본인 부담은 30% 수준으로 줄어들어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지원대상, 지원금, 신청 절차, 주의사항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지원대상 및 기본 조건



✅ 지원대상
- 만 65세 이상 어르신
- 건강보험 또는 의료급여 가입자
- 치아가 빠져 임플란트가 필요한 경우
✅ 적용 제외 대상
- 이미 건강보험 임플란트 혜택(2개)을 모두 받은 경우
- 미용 목적의 임플란트 시술
- 유치나 인공치아 교체 등 단순 교체 목적
💬 즉, “65세 이상 + 치아 결손 + 아직 2개 이하 시술자”면 지원 가능!
2️⃣ 지원 범위와 금액



항목 내용
| 지원 횟수 | 평생 2개까지 |
| 지원 부위 | 상·하악 구분 없이 영구치 결손 부위 |
| 본인부담률 | 건강보험 30%, 의료급여 20% |
| 지원금액(평균) | 1개당 약 80~100만 원 지원 |
| 시술 가능 병원 | 건강보험 요양기관 등록 치과 전체 |
✅ 지원 전·후 비교 예시
구분 지원 전 지원 후 (보험적용)
| 임플란트 1개 비용 | 약 120~150만 원 | 약 35~45만 원 |
| 총 2개 시술 시 | 약 250만 원 이상 | 약 70~90만 원 수준 |
💬 비용이 절반 이하로 줄어듭니다. 어르신 부담이 확 줄어요.
3️⃣ 신청 및 시술 절차



✅ STEP 1. 치과 내원 및 진단
- 치과에서 임플란트 필요 여부 진단
- 건강보험 자격(65세 이상 + 가입상태) 확인
✅ STEP 2. 보험 적용 가능 여부 확인
- 치과의사가 ‘보험 적용 가능 치아’ 확인 후 안내
- 시술 전 ‘보험 청구 동의서’ 작성
✅ STEP 3. 시술 및 결제
- 시술 후 병원이 건강보험공단에 청구
- 환자는 본인부담금(30%)만 결제
✅ STEP 4. 사후 관리
- 유지관리(정기검진, 잇몸치료 등)는 별도 비급여 가능
4️⃣ 의료급여 대상자는 추가 혜택



의료급여(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대상자는
본인부담률이 20%로 더 낮습니다.
구분 본인부담률 1개당 평균 부담금
| 건강보험 가입자 | 30% | 약 40만 원 |
| 의료급여 수급자 | 20% | 약 25만 원 |
💬 경제적 부담이 큰 어르신일수록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주의사항 및 체크리스트 ⚠️



1️⃣ 평생 2개 한도
→ 같은 사람에게 총 2개까지만 적용됩니다.
2️⃣ 시술 순서 중요
→ 보험 적용 순서대로 청구해야 하며, 중복 지원 불가.
3️⃣ 심미 목적은 제외
→ 앞니 미용 개선 목적의 시술은 비급여 처리.
4️⃣ 유지·보수 비용은 별도
→ 임플란트 이후 스케일링, 잇몸치료는 별도 청구.
5️⃣ 틀니 지원과 병행 가능
→ 같은 사람이라도 틀니 지원과 임플란트 지원은 각각 별도입니다.
💬 “두 개까지만이지만, 잘 활용하면 치아 건강이 훨씬 오래갑니다.”
6️⃣ 함께 받을 수 있는 치과 복지 혜택



✅ 노인 틀니 건강보험 지원
- 만 65세 이상 대상
- 레진틀니, 금속틀니 모두 지원 (본인부담 30%)
✅ 스케일링 연 1회 보험 적용
- 만 20세 이상 누구나 가능
- 잇몸질환 예방에 효과적
✅ 치주질환 치료 건강보험 확대 중
- 2025년부터 일부 보철치료까지 단계적 적용 예정
💬 마무리하며
임플란트는 단순한 치과 시술이 아니라,
삶의 질을 지키는 복지 혜택입니다.
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반드시 건강보험 자격과 지원 횟수를 확인하고,
근처 치과에서 “임플란트 보험 적용 가능 여부”를 상담하세요.
💬 “건강보험 혜택은 알고 누릴 때 비로소 진짜 복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