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정상수치 – 고혈압 저혈압 구분법

혈압 수치 기준표 및 고혈압 저혈압 구분법 – 한눈에 보는 건강 가이드

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듣게 되는 혈압 수치,
"정상이에요", "조금 높으시네요"라는 말만 듣고 넘어가기 쉬운데요.
사실 이 수치 하나로 심혈관 건강 상태를 꽤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혈압 수치 기준, 고혈압·저혈압 판단 기준, 나이별 권장 수치, 관리 방법까지
꼼꼼하고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1. 혈압이란?

혈압이란 심장이 수축하거나 이완할 때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해요.
두 가지 수치로 표시됩니다.

  • 수축기 혈압 (최고혈압): 심장이 수축해서 혈액을 내보낼 때의 압력
  • 이완기 혈압 (최저혈압): 심장이 이완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압력

예: 120/80mmHg는 수축기 120, 이완기 80을 의미합니다.

 

✅ 2. 혈압 수치 기준표

아래 표는 세계보건기구(WHO) 및 국내 병원 기준을 참고한 성인 기준 혈압 분류표입니다.

구분 수축기(mmHg) 이완기(mmHg) 의미

정상 혈압 90~119 60~79 건강한 상태
정상 고혈압 전단계 120~129 80 미만 생활 관리 필요
1단계 고혈압 130~139 80~89 초기 고혈압, 약물 치료 고려
2단계 고혈압 140~159 90~99 치료 필요, 합병증 위험 증가
중증 고혈압 160 이상 100 이상 고위험군, 즉각적인 관리 필요
저혈압 90 미만 60 미만 빈혈·어지럼증 위험 있음

✔ 수치는 한 번의 측정보다 평균 수치로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나이대별 혈압 권장 수치

나이가 들수록 혈관 탄력 저하로 인해 수축기 혈압이 조금씩 상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변화예요.
하지만 이완기 혈압은 급격히 높아지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연령대 권장 수축기 / 이완기

20~29세 115 / 75 mmHg 내외
30~39세 120 / 80 mmHg 내외
40~49세 125130 / 8085 mmHg
50~59세 130135 / 8590 mmHg
60세 이상 135140 / 8590 mmHg

✔ 고령자는 이완기 혈압보다 수축기 혈압 상승을 더 주의해야 합니다.

 

✅ 4. 고혈압 vs 저혈압 증상 비교

증상 고혈압 저혈압

공통 두통, 피로감 어지럼증, 피로
특징 숨참, 코피, 심계항진, 시야흐림 기립성 저혈압, 식은땀, 창백
위험성 뇌출혈, 심근경색, 신장질환 등 실신, 무기력, 치매 위험 증가

✔ 고혈압은 자각증상이 없을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측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 5. 혈압 정상 유지하는 생활습관 팁

  • 짜게 먹지 않기: 나트륨 섭취 줄이기 → 하루 2,000mg 이하
  • 하루 30분 이상 걷기: 유산소 운동은 혈관 건강에 좋습니다
  • 수면 충분히 취하기: 수면 부족은 혈압을 높이는 원인
  • 과도한 카페인 줄이기
  • 체중 관리하기: 비만은 혈압 상승을 유도합니다
  • 스트레스 줄이기: 스트레스는 순간적으로 혈압을 급상승시킴
 

📝 마무리 요약

항목 정리

정상 혈압 90119 / 6079 mmHg
고혈압 기준 수축기 130 이상 또는 이완기 80 이상
저혈압 기준 수축기 90 미만 또는 이완기 60 미만
고위험군 2단계 고혈압 이상 또는 증상 동반 시
관리법 식단 개선, 유산소 운동, 스트레스 해소, 체중 조절

혈압 수치는 단순한 숫자 같지만, 우리 몸의 건강을 미리 알려주는 신호등 같은 존재입니다.
정기적인 측정과 올바른 생활습관을 통해 혈관 건강을 지키는 습관, 오늘부터 시작해보세요!

 

최근 글

Designed by JB FACTORY